We have created a awesome theme
Far far away,behind the word mountains, far from the countries

제품소개 ( 모델명 : KPF-FP-16-2 )

기존의 히팅열선과 달리 금속발열선이 아니라 카본이 함유된 플라스틱 반도체(semi-conductor)에 의해 발열하는 제품으로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PTC특성: 일종의 자연현상으로, 주위 온도의 변화에 따라 발열량이 자동적으로 증감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PTC히팅열선은 PTC원리를 응용하여 개발된 자기 제어형(Self-Regulating) 히터: 주의 온도가 추우면 많이 발열하고
온도가 따뜻하면 적게 발열하기 때문에 전기 소모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
을 지니고 있습니다.
반도체 플라스틱을 특수처리하여 장시간 사용해도 초기의 발열량을 그대로 유지합니다
전기용품 안전인증 없는 제품을 쓰실 겁니까?
1~2년 쓰고 버리는 제품 을 쓰실 겁니까?
화재걱정하며 제품을 쓰실 겁니까?
지금부터 전기용품 인증받은 안전한.
10년이상 쓰실 수 있는, 화재걱정없는 제품으로 바꾸세요.
여러 걱정으로 부터 편안하실겁니다
제품의 특징

안 전 성
    자기제어 시스템으로 과열될 염려가 없고 전자파 발생이 없다.
일정한온도유지
    주의온도를 스스로 감지하여 케이블의 발열량을 조절한다
전기에너지절약
    온도가 상승하면 발열량이 자동으로 감소하는 시스템이다.
내 구 성
    열처리와 가교를 향한 방식으로 부식이없고 수명이 반영구적이다.

파이프 드레싱시스템
1. 히트 드레이싱 시스템은 동파방지 및 온도유지 목적의 시스템으로 아래와 같이 구성됩니다.

동파방지 PTC 카본 히팅케이블, 전원접속키트,전원접속외함,온도센서/온도조절기,소형정선박스,단말처리키트, 고정테이프, 경고 라벨, 보온재 및 습기 방지 열연물, 전원 판넬

2. 동파방지 PTC카본 히팅케이블 점검 사항

1)히팅케이블 설치 전에 시방서 상의 제품과 동일한지 확인하십시오, 제품에 손상이 없는지 육안으로 확인하십시오.
2)히팅케이블은 건조하고 청결한 곶에 보관되어야 하고 릴 또는 드럼에 감겨져 있는 상태에서 전원을 연결하지 마십시오
3)빠른 온도 상승과 에너지 절약, 플라스틱 파이프 또는 유체의 과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PTC 카본 히팅케이블은 아래의 자율온도제어지수(S-R index) 값을 가져야합니다.
S-R idex는 W/℃로 표시되는 출력값이며, 10℃ 와 30℃ 사이에서 측정됩니다.
4)IEEE515:2004에서 규정한 열성능비교시험을 통과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히팅케이블은 각각 온도에서 15분동안 유지되면서 25℃와 65℃사이(KPF시리즈의 경우) 또는 25℃ 와 110℃ 사이(KPF-R시리즈의 경우) 에서 1500번의 열 순환 시험후 이후의 출력이 최소의 출력 대비 90%이상이 되어야 한다.
5) 히팅케이블은 연속 사용온도 65℃, 순간 노출온도 85℃에서 사용할 수 있는 KPF-CP, KPF-CF 이거나 , 연속사용온도 110℃ 순간노출온도 135℃에서 사용할 수 있는 KPF-R-CX,KPF-R-CF 이어야한다.

3. 케이블 설치 전 확인사항

1)파이프 배관과 관련된 설비가 모두 잘 설치되고 관련 시험이 완료되었는지 확인하십시오.
2) 파이프 및 부속자재가 설치되고 관련 시험 및 도색이 완료될 때 까지 PTC카본히팅케이블을 설치하지 마십시오.
3) 히팅케이블이 설치될 장소의 배관 및 부속자재의 표면에 기름, 먼지, 금속조각 등이 없도록 청결하게 청소되어야 합니다.

4. 케이블 설치

1)설치시 전원 연결과 케이블 각 연결을 위한 여분의 케이블을 준비하십시오. 케이피에프의 설계가이드를 참조하시어 밸브, 플랜지등의 부속자재에 필요한 히팅케이블 여유분을 준비하십시오.
2) 엘보우 경우 충분한 열을 확보하기 위해 히팅케이블을 엘보우 바깥 반경에 위치시키십시오. 파이프지지대의 경우 단열 처리된 파이프 지지대는 추가의 히팅케이블을 필요하지 않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 파이프 지지대 두배 길이의 히팅케이블과 추가 40cm가 필요합니다.
3) 밸브 등 기타 부속자재로 인하여 증가된 열 손실을 보상하기 위해서는 추가 히팅케이블이 필요합니다. 기타 부품에 대한 추가 소요 케이블길이는 케이피에프의 설계가이드를 참조하여 선정하십시오.
4) 밸브 등의 부품은 나중에 유지 보수가 간편하도록 히팅케이블을 잘 구부려 설치하십시오.
5) 회로 밑반부는 단말처리 키트를 사용하여 마감하십시오.
6) 필요 시 연결키트로 히팅케이블간 전원접속 연결 등의 연결을 하십시오

5. 보온재의 설치

1)보온재 없이 히팅케이블 만으로 열손실을 상쇄하기는 열손실이 너무 높은 경우가 있으므로 적절한 보온재의 설치는 중요합니다.
2) 히팅케이블의 설치가 완료된 직후 있을 수 있는 물리적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즉시 보온재를 설치하시기 바랍니다.
3) 수분 등의 침투가 없도록 보온재 마감을 철저히 하여야 합니다.
4) 파이프 서포트, 행거,플랜지,밸브 보넷, 펌프, 밸브등 노출된 열 흡수원에 보온재를 설치하어야 합니다.

6. 설치완료 후

1.) 보온재 설치 후 분기 회로의 절연 저항은 500Vdc에서 10Mohm이하가 되서는 안됩니다.
2) 보온재 설치 후 바깥면에 경고라벨을 지상에서 볼 수 있는 위치에 부착하십시오.
3) 정격 전압 및 전류를 인가하여 회로를 구동한 뒤 전압, 전류,파이프온도 및 주위온도를 기록할 것을 권장합니다.
이 정보는 추후 참고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운전 기록 유지를 위해 필요합니다.

스노우멜팅시스템

1. 동파방지 PTC카본 히팅케이블 점검사항

히팅케이블 설치 전에 히팅케이블 피복에 인쇄된 파트번호, 경적 전압, 출력, 종류가 맞는지 확인하십시오.
제품에 손상은 없는지 육안으로 확인하십시오.

2. 구성 및 특징

1)자율제어형 히팅케이블을 사용하는 융설시스템
콘크리트 포장 도로에 적합합니다. 2가닥의 니켈도금동선을 따라 전자선 조사를 통하여 가교된 고분자
PTC 재료가 감싸고 있는 병렬 구조로써 물리적 특성이 우수한 절연 자켓으로 덮여 있으며, 주석도금 동조편조를 통한 전기접지보호기능이 있습니다
출력은 온도에 따라 변화하므로 과열의 위험이 없고, 현장에서 원하는 길이 만큼 절단하여 사용이 가능합니다.
분전함 인입을 위해 PTC카본팅케이블과 콜드리드를 연결할 필요가 없습니다.
변압기의 사용 없이 100~120Vac. 200~240Vac의 전원을 선택하여 사용이 가능합니다.
PTC카본 히팅케입르의 전원접속 및 말단부 단말처리는 판넬이나 단자함에서 이루어져야 합니다.
소비전력은 200~300W/㎡ 사이며, 도로포장 재질 및 하부 여건 등을 고려하여 결정됩니다.

2) 시공
철근 혹은 철망(와이어매쉬) 등에 PTC카본히팅케이블을 고정, 지지된 상태에서 설치되어야 합니다.
단자함 및 판넬은 지상에 설치되어야 하며, 방수형이어야 합니다.
각각의 회로는 300mA에서 작동되는 접지사고 보호장치에 의해 보호되어야 합니다.
전원접속, 말단절연, 히팅케이블 간의 연결등은 현장작업이 가능합니다.
안전을 위하여 일반인에게 노출되는 금속배관은 금속장벽이나 보온재로 보호되어야 합니다.
PTC카본 히팅케이블 말단부는 단말키르를 사용하여 마감되어야 합니다.
설치가 왼료되면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전에 500Vdc 절연저항 테스터로 버스와이어와 편조선 사이의 저항을 측정하십시오.
(측정치가 200MΩ 이하가 되어서는 안됩니다)
PTC카본히팅케이블은 콘크리트 타설 작업중에 흐트러져서는 안됩니다.
PTC카본히팅케이블이 도로에서 판넬 또는 단자함으로 나가나는 구간에는 가요전선관을 설치하여야 합니다.
전선관에는 1개의 히팅케이블만이 삽입되어야 합니다.
콘크리트 양생을 위하여 콘키리트 시공 후 최소 7일 동안은 히팅케이블에 전원이 인가되어서는 안됩니다.

지붕/배수로 제빙 시스템

1. 지붕&배수로제빙 시스템의 정의

자율제어형 PTC 카본 히팅케이블 및 부속품으로 구성되며, 얼음이나 눈으로 인하여 막히기 쉬운 지붕의 처마, 물받이, 세로 홈통에서 원활한 물의 흐름을 유지하기 위한 시스템

2. 구성 및 특징

- PTC 카본 히팅케이블은 니켈 도금된 2가닥의 16AWG 동선이 고분자 PTC 소재에 감싸여 있으며, 외부 온도에 반응해 출력이 달라집니다.
- 겹쳐지더라도 과열이 되지 않으며, 현장에서 원하는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합니다.
- PTC카본 히팅케이블 부속자재의 외피는 NEMA 4X 요구조건을 만족시켜야 합니다.
* NEMA 4X : 외함 등급으로 실내/외용으로 사용되도록 제작된 외함으로, 위험부위에 조작원이 접근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위험원으로부터 보호하는 복적입니다. 분진, 수분침투(비,진눈깨비,눈,물튐 등) 부식 등에 대한 보호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 시스템은 히팅케이블을 지붕 표면과 홈통등에 부착할 수 있는 부착클립을 포함하여 당사에서 공급하는 부속품을 사용하여 설치하여야 합니다.

3. 성능

1) 소비전력
-IEEE515:2004에 의거 0℃ 눈이나 얼음 속에서 55W/m, 10℃ 대기 중에서 40W/m의 출력을 가져야 합니다.
2) 기계적 강도
- 외부자켓은 내마모성 불소수지(Fluoroplymer) 이어야 합니다.
- IEEE515:2004에 의거 -20℃의 설치 온도에서 최소 13.5J 충격 후에도 자켓에 균열이 없어야 합니다.
- IEEE515:2004에 의거 상온에서 1500N의 하중에도 자켓의 균열 또는 절연특성의 저하가 없어야 합니다.
3) 자외선 안전성
- 케이블과 부속품들은 장시간 햇볕에 노출되어도 균열이나 특성 저하가 없어야 합니다.
4) 방수성
- 케이블과 부속품들은 IEEE515:2004에 의거 물속에서 14일 이상 잠겨있어도 절연 성능의 저하가 없어야 합니다.

4. 제어

1) 눈 감지센서에 의한 제어(Automatic Snow Controller)
- 당사에서 공급하는 Snow/Ice Dual Sensor 및 Snow Detector를 사용하여 눈과 얼음을 자동으로 감지하여 시스템을 가동합니다
- 배수로에는 1개 이상의 센서를 추가로 설치하여 제어합니다
2) 자동온도조절기(Themostat) & 매뉴얼 스위치(Manual Switch)를 사용한 제어
- 대기 온도를 감지하여 자동온도조절기 또는 메뉴얼 스위치에 의해 제어합니다.

5. 시공

- 물받이에서는 눕혀진 상태, 세로 홈통에서는 고리형태 또는 일직선의 형태로 매달아 놓은 다음에 세로 홈통을 붙잡아 매는 지지대에 유지시키고, 루프 클립을 사용해 부착하여야 한다.